How to Build a Portfolio with Low-Correlation Assets | The Secret to Reducing Risk and Increasing Returns

이미지
                            [Portfolio Strategy] How to Build a Portfolio with Low-Correlation Assets | The Secret to Reducing Risk and Increasing Returns                   [The Core of Diversification: Building a Portfolio with Low-Correlation Assets]         In the world of investing, the saying,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has long been an important guide for investor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versification , and one of the core strategies of diversification is to build a portfolio with assets that have low or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educing Risk and Increasing Returns: How to Build a Portfolio with Low-Correlation Assets     1. Why are Low-Correlation Assets Important?     The correlation between assets is an indicator that shows how similarly the price movements of two assets move. A correlation coefficient close to 1 means the two assets move in almost the same direction, while a coefficie...

분산투자의 핵심: 상관관계(Correlation) 낮은 자산 조합의 중요성

이미지
[포트폴리오 전략] 상관관계 낮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구성하는 방법 | 위험은 줄이고 수익은 높이는 비법 [분산투자의 핵심: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투자의 세계에서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은 오랜 시간 동안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침이 되어 왔습니다. 이는 곧 분산투자 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며, 분산투자의 핵심 전략 중 하나가 바로 서로 상관관계(Correlation)가 낮거나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 입니다. 위험은 줄이고 수익은 높이는, 상관관계 낮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1.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 왜 중요할까요? 자산 간의 상관관계는 두 자산의 가격 움직임이 얼마나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우면 두 자산이 거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1에 가까우면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0에 가까우면 서로의 움직임이 독립적이라는 의미입니다. 포트폴리오에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을 포함시키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감소 (Risk Reduction): 가장 핵심적인 이유입니다. 특정 자산의 가치가 하락할 때, 상관관계가 낮은 다른 자산의 가치는 오히려 상승하거나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 전체 포트폴리오의 손실 폭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즉, 한 자산의 불확실성을 다른 자산이 상쇄하여 전체적인 변동성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수익률 안정화: 변동성이 줄어들면 포트폴리오의 수익률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극심한 시장 침체기에도 포트폴리오 전체가 큰 타격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적인 투자 목표 달성에 기여합니다. 위험 대비 수익률 개선 (Sharpe...

USA Permanent Portfolio with 1-Year Rebalancing Backtest Results

이미지
                            [Quant Investing] Permanent Portfolio with 1-Year Rebalancing Backtest Results                 [Quant Investing] Permanent Portfolio (US Stocks) Rebalancing Backtest         In a previous post, we analyzed the basic performance of the Permanent Portfolio devised by investor Harry Browne. In this article, we will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s of applying a 1-year rebalancing cycle to this strategy. We will specifically examine with data how consistent rebalancing affects the rate of return ( CAGR ) and Maximum Drawdown ( MDD ).         Permanent Portfolio (US Stocks) 1-Year Rebalancing Backtest Results         1. The Importance of Rebalancing     Rebalancing is the process of returning a portfolio's asset allocation to its original target weights when the value of a specific asset has risen or fallen. The Permanent Portfolio is a strategy that invests 25% each in stocks, long-term bonds, gold, and cash-like asset...

미국 주식 영구 포트폴리오 (Permanent Portfolio) 1년 리밸런싱 백테스트 결과

이미지
[퀀트투자] 영구 포트폴리오 (Permanent Portfolio) 1년 리밸런싱 적용 결과 [퀀트투자] 영구 포트폴리오(미국주식) 리밸런싱 백테스트 이전 포스팅에서 투자자 해리 브라운(Harry Browne)이 고안한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 의 기본 성과를 분석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전략에 1년 주기 리밸런싱 을 적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과연 꾸준한 리밸런싱이 수익률( CAGR )과 최대낙폭( MDD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변화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주식 영구 포트폴리오 (Permanent Portfolio) 1년 리밸런싱 적용 결과 1. 리밸런싱(Rebalancing)의 중요성 리밸런싱이란 특정 자산의 가치가 오르거나 내려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이 목표치에서 벗어났을 때, 다시 원래의 비율로 되돌리는 작업을 말합니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주식, 채권, 금, 현금성 자산에 각각 25%씩 투자하는 전략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각 자산의 성과에 따라 비중이 변하게 됩니다. 리밸런싱은 이 변동된 비율을 다시 25:25:25:25 로 맞추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비중을 맞추는 것을 넘어, 포트폴리오가 본래 목표했던 위험 수준을 유지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리밸런싱은 과대평가된 자산을 팔아 저평가된 자산을 매수하는 효과를 낳아, 장기적으로는 수익률을 끌어올리고 변동성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2. 백테스트 조건 및 가정 이번 백테스트는 이전 포스팅과 동일하게 2015년 8월 1일부터 2025년 8월 1일까지의 10년간 데이터 를 기반으로 진행했습니다. 초기 투자금은 1,000만 원으로 설정하였으며, 각종목의 ...

PER and PBR, Just the Essentials | The Two Compasses of Value Investing, How to Use Them Correctly

이미지
[Stock Investment] PER and PBR, Just the Essentials | The Two Compasses of Value Investing, How to Use Them Correctly [Stock Investment] Finding Hidden Gem Stocks with PER and PBR When you first start investing in stocks, two of the most common terms you'll encounter are PER and PBR . These two indicators are the most fundamental metrics for evaluating a company's value. However, it can be dangerous to simply assume that a stock with a low number is 'unconditionally an undervalued, good stock'. In this article, we'll take a closer look at what PER and PBR mean, and how to interpret and utilize these two indicators. PER and PBR, Just the Essentials | The Two Compasses of Value Investing, How to Use Them Correctly 1. PER (Price Earning Ratio) PER is an indicator that shows how many times the current stock price is relative to the company's net profit. It can be understood as the number of years it would take to recover the current market ca...

PER과 PBR 뜻 , 핵심만 쏙쏙 | 가치투자의 두 나침반, 제대로 사용하는 법

이미지
[주식투자] PER과 PBR, 핵심만 쏙쏙 | 가치투자의 두 나침반, 제대로 사용하는 법 [주식 투자] PER과 PBR로 숨겨진 보물주 찾기 주식 투자에 입문하면 가장 먼저 접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PER 과 PBR 입니다. 이 두 지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척도가 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숫자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저평가된 좋은 주식'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ER과 PBR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이 두 지표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ER과 PBR, 핵심만 쏙쏙 | 가치투자의 두 나침반, 제대로 사용하는 법 1.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기업이 1년에 벌어들이는 순이익으로 현재의 시가총액을 회수하는 데 몇 년이 걸리는지 보여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ER = 현재 주가 / 주당 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주식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어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하며, PER이 높을수록 고평가되었다고 해석합니다. 다만,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미래의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시장에서 높은 PER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PER은 같은 업종 내 다른 기업이나 과거의 PER과 비교하며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대비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자산을 모두 청산했을 때 주주가 나눠 가질 수 있는 가치, 즉 장부상의 가치와 현재 주가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PBR = 현재 주가 / 주당 순자산(BPS, Book-value Per Share) PBR이 1 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의 가치보다...

What is ROE (Return on Equity)? A complete guide to the key metric for successful stock investment.

이미지
                            What is ROE (Return on Equity)? A complete guide to the key metric for successful stock investment.                                   [Your Investment Compass: How to Read ROE]         Hello! For those of you interested in investing, today we will take a closer look at ROE (Return On Equity) ,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rics used to evaluate a company's profitability.         ROE (Return on Equity): A key metric for judging a company's profitability          1. What is ROE?     ROE is a metric that shows how much profit a company has generated using its equity . Simply put, it's a measure of how efficiently a company is earning money with the capital invested by shareholders.                          ROE Calculation Formula:     ROE = (Net Income / Shareholder's Equity) × 100             Net Income: The pure profit remaining after a company subtracts all expenses (operating expenses, interest expenses, taxes...